KOREAN TRADITIONAL PATTERN
KOREAN TRADITIONAL PATTERN

KOREAN TRADITIONAL PATTERN

KOREAN TRADITIONAL PATTERN

Project Information

Summary

전통문양은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,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 한 것입니다. 한국 전통문양은 우리 조상들의 의식과 염원이 반영된 정신 활동의 소산이며 창조적 미적 활동의 결과입니다. 무한한 가치를 가진 우리 전통문양을 온고지신의 정신을 바탕으로 현대화하여 우수성을 홍보하고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습니다.

SCOPE

  • Cultural Identity
  • Pattern
  • Envelope
  • Merchandise

PERIOD

2013. 01 - 2013. 11

PERSONAL WORK

문화포털에서 제공하는 전통문양

우선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포털(www.culture.go.kr)에서 제공하는 전통문양을 크게 일곱 가지 의미로 나누어 의미별로 분류하였습니다. 분류한 후에는 각 의미를 대표하는 문양을 하나씩 선정하였습니다.

문양과 색상의 의미별 매칭

그리고 각 문양과 색상을 의미별로 매치하였습니다. 일곱 가지의 색은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의 ‘한국전통표준색명 및 색상에 관한 연구’에서 제시한 색에서 선정하였습니다.

의미와 색으로 새롭게 결합안 문양과 기념일 매칭

의미와 색으로 새롭게 결합한 전통문양을 기념일과 매치하였습니다. 기념일은 예로부터 중요시되었던 기념일과 현대 사회의 기념일 중 일곱 가지를 선정하였습니다.

7가지 패턴의 기념일 전통문양

각종 기념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인 봉투를 제작하기 위해 의미와 색, 기념일을 결합한 전통문양 일곱 가지를 패턴으로 디자인하였습니다. 겉봉투와 속봉투, 포장용 종이, 스티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각각 여섯 개의 패턴을 디자인했습니다.

여섯가지의 전통색
패턴을 활용한 봉투

제작한 패턴을 활용하여 두 가지 디자인의 봉투와 원형 스티커를 제작하였습니다. 겹겹으로 이루어진 형상과 봉투를 마감하는 띠는 한복에서 모티프를 얻었습니다. 봉투의 뒷면에는 각 문양의 의미에 따라 키워드를 은박으로 후가공하여 미적 요소를 더하고 쓰임이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.

패턴을 활용한 원형 스티커
패턴을 활용한 패키지들
패턴을 활용한 굿즈
패턴을 활용한 굿즈
PREVIOUS PROJECT
WELIVEARTH
© 2024 SOLASIDO All rights reserved.